이슈 & 정보

노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안 | 노인복지법 개정 | 배경 | 주요 내용 | 기대효과 | 전망

에스터화 2025. 6. 13. 19:50
728x90
300x250

노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안(2025년 5월 20일 시행) 배경과 주요 내용, 기대효과 및 전망


배경


대한민국은 2025년 초고령사회(65세 이상 인구 비율 20% 이상)에 진입합니다. 이에 따라 노인 인구의 급증, 기대수명 연장, 노인의 욕구 다양화, 노인 빈곤 및 복지 사각지대 문제 등 복합적인 사회 변화가 나타나고 있습니다[6][7]. 기존 노인복지법은 1981년 제정 이후 부분 개정만 반복되어, 초고령사회에 대응하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되었습니다[6][2]. 특히, 노인복지정책의 실효성, 복지 사각지대 해소, 노인복지주택 공급 활성화, 정책의 체계적 평가 필요성이 커지면서 법령 개정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주요 내용 및 핵심 내용

1. 노인정책영향평가제 도입

- 정책영향평가 의무화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의 장은 노인 관련 정책이나 계획을 수립·시행할 때 반드시 노인복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평가(노인정책영향평가)해야 합니다[1][5][8][12].

- 평가 요청 및 절차
  중앙행정기관·지자체의 장이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보건복지부장관에게 영향평가를 요청할 수 있으며, 복지부장관이 필요성을 인정하는 경우에도 직접 평가를 실시할 수 있습니다[1][8][10].

- 평가 대상 선정
  복지부장관은 노인복지에 미치는 영향, 평가의 시급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평가 대상을 선정합니다[1][8].

- 결과 통보 및 개선 권고
  평가 결과는 관계 기관에 통보되며, 필요시 정책 제언이나 개선 권고가 내려집니다. 해당 기관은 이를 정책에 반영하고, 60일 이내에 개선 대책을 복지부장관에게 통보해야 합니다[1][8][10].

- 전문가 자문 및 교육 지원
  평가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을 받을 수 있고, 중앙행정기관·지자체 공무원 대상 교육 등 지원도 포함됩니다[1][8][10].



2. 노인복지주택(시니어타운) 공급 활성화


- 운영자격 요건 완화
  기존에는 ‘노인복지주택 운영 경험이 있는 법인·단체’만 운영이 가능했으나, 개정안에서는 ‘운영업무를 담당할 전담인력 및 전담조직을 갖춘 법인·단체’로 자격 요건이 변경되었습니다. 이로써 부동산투자신탁(리츠) 등 신규 사업자의 시장 진입이 가능해져 시니어타운 공급이 활성화될 전망입니다[11].



기대효과


1. 정책 실효성 및 맞춤형 복지 강화

- 노인정책영향평가제 도입으로 모든 노인 관련 정책이 사전에 체계적으로 분석·평가되어, 노인복지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최소화하고 긍정적 효과는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1][5][8].
- 정책의 사각지대나 부작용을 사전에 발견·개선함으로써 노인복지의 질적 수준이 향상됩니다.

2. 복지 사각지대 해소 및 노인 삶의 질 제고

- 노인복지주택 신규 사업자 진입 허용으로 시니어타운 등 주거 인프라가 확대되어, 노인의 주거 안정과 복지 사각지대 해소에 기여합니다[11].
- 고독사 예방, 디지털 격차 해소, 치매 조기 지원 등 최근 개정된 관련 법령과 연계해 노인 삶의 질이 전반적으로 개선될 전망입니다[4].

3. 정책 투명성 및 사회적 신뢰 제고

- 정책 추진 과정에서 전문가 자문과 공무원 교육이 병행되어 정책의 전문성과 투명성이 높아집니다[1][8].
- 평가 결과와 개선 권고의 의무적 반영으로 정책 집행의 책임성과 신뢰도가 강화됩니다.


전망


- 초고령사회에 맞는 복지체계 구축
  이번 개정은 노인을 단순 보호 대상이 아닌, 자립적이고 주체적인 사회 구성원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입니다[6].

- 노인복지정책의 지속적 개선 촉진
  정책영향평가제가 정착되면, 노인복지정책은 수립·시행 단계에서부터 실효성 검증과 개선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됩니다[1][5][8].

- 복지주택 시장 활성화와 민간 참여 확대
  리츠 등 민간의 적극적 참여로 노인복지주택 공급이 늘어나고, 다양한 복지서비스와 연계된 주거 모델이 확산될 전망입니다[11].

- 향후 과제
  노인 기준 연령 상향, 복지 연령 기준 통일, 경로당 등 지역사회 인프라의 실질적 활용, 노인 일자리 창출 등 남은 과제에 대한 논의와 추가 입법이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6][7].



결론


2025년 5월 20일 시행된 노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안은 초고령사회에 대응하는 한국 노인복지정책의 중대 전환점입니다. 정책영향평가제 도입과 복지주택 공급 활성화 등은 노인복지의 실효성, 투명성, 맞춤형 지원을 크게 강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앞으로도 노인복지체계의 지속적인 개선과 사회적 논의가 이어질 전망입니다[1][5][8][11].



출처
[1]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법제처 https://www.moleg.go.kr/lawinfo/makingInfo.mo?mid=a10104010000&lawSeq=83042&lawCd=0&lawType=TYPE5&pageCnt=10&currentPage=1&keyField=&stYdFmt=&edYdFmt=&lsClsCd=&cptOfiOrgCd=
[2] 노인복지법의 제정배경 및 주요내용 - 레포트월드 https://m.reportworld.co.kr/welfare/w1434525
[3]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0.24.)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300&bid=0027&tag=&act=view&list_no=378642&cg_code=
[4] 2025년 노인복지를 위한 새로운 법과 제도 총정리 - 노후의 모든것 https://nohoo1.co.kr/entry/2025%EB%85%84-%EB%85%B8%EC%9D%B8%EB%B3%B5%EC%A7%80%EB%A5%BC-%EC%9C%84%ED%95%9C-%EC%83%88%EB%A1%9C%EC%9A%B4-%EB%B2%95%EA%B3%BC-%EC%A0%9C%EB%8F%84-%EC%B4%9D%EC%A0%95%EB%A6%AC
[5] '초고령화시대' 노인복지정책도 정책영향평가제 도입한다 | https://heraldk.com/2025/06/10/%E2%80%98%EC%B4%88%EA%B3%A0%EB%A0%B9%ED%99%94%EC%8B%9C%EB%8C%80%E2%80%99-%EB%85%B8%EC%9D%B8%EB%B3%B5%EC%A7%80%EC%A0%95%EC%B1%85%EB%8F%84-%EC%A0%95%EC%B1%85%EC%98%81%ED%96%A5%ED%8F%89%EA%B0%80%EC%A0%9C/
[6] 20년간 손 안 본 '노인복지법'…현실에 맞게 전면개정해야 - 헬스경향 https://www.k-health.com/news/articleView.html?idxno=74283
[7] [프리즘] 정부, 올해 노인 연령 상향 추진…현실 반영할까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MYH20250420006200038
[8] '초고령화시대' 노인복지정책도 정책영향평가제 도입한다 - Daum https://v.daum.net/v/20250611110108662
[9]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법제처 https://www.moleg.go.kr/lawinfo/makingInfo.mo?lawSeq=82032&lawCd=0&lawType=TYPE5&mid=a10104010000
[10]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정책의 개요 노인복지법 ... https://thecodit.com/kr-ko/bill/sh/20250611-000000000083044
[11] 리츠에 노인복지주택 사업 허용…시니어타운 공급 숨통 트인다 https://news.nate.com/view/20250522n26360
[12] '초고령화시대' 노인복지정책도 정책영향평가제 도입한다 - 헤럴드경제 https://biz.heraldcorp.com/article/10506670
[13] 노인복지법 시행령 개정에 따른 리츠의 시니어주택 사업참여 활성화 ... https://www.lawtimes.co.kr/LawFirm-NewsLetter/208589
[14]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law.go.kr/LSW/lsRvsDocListP.do?lsId=006940&chrClsCd=010202&lsRvsGubun=all
[15] 2025년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사업안내 - 보건복지부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11010100&bid=0019&act=view&list_no=1484224&tag=&nPage=1
[16] 통합입법예고 - 국민참여입법센터 https://opinion.lawmaking.go.kr/gcom/ogLmPp/83044
[17]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노인정책과) https://thecodit.com/kr-ko/bill/sh/20250611-000000000083042
[18] K실버타운이 돈 된다…군침 흘리던 큰손들 투자 러시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6105206i
[19] [1-LIFE] 고령화시대 '시니어주택' 활성화되나 - 시사캐스트 http://www.sisacast.kr/news/articleView.html?idxno=75277
[20] 「노인복지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의결(10.24.) https://eiec.kdi.re.kr/policy/materialView.do?num=243872
[21] 노인복지의 종류 - 찾기쉬운 생활법령정보 http://easylaw.go.kr/CSP/CnpClsMain.laf?popMenu=ov&csmSeq=1963&ccfNo=1&cciNo=1&cnpClsNo=1
[22]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안 입법예고 - 법제처 https://www.moleg.go.kr/lawinfo/makingInfo.mo?mid=a10104010000&lawSeq=83044&lawCd=0&lawType=TYPE5&pageCnt=10&currentPage=2&keyField=&stYdFmt=&edYdFmt=&lsClsCd=&cptOfiOrgCd=
[23] 사회복지사업법 - 노인복지법 - 국가기록원 https://www.archives.go.kr/next/newsearch/listSubjectDescription.do?id=000324&sitePage=
[24] [PDF] 2025년 보건복지분야 정책 전망과 과제 https://repository.kihasa.re.kr/bitstream/201002/46625/1/2025.01.No.339.04.pdf
[25] [PDF] 2025년 노령 정책 예산 분석 https://koweps.re.kr/api/kihasa/file/download?seq=29280
[26] 노인복지법 시행규칙 및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시행규칙 개정안 입법 ...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300&bid=0027&act=view&list_no=280252&tag=&nPage=89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