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희토류 세계 생산 순위 | 희토류 정제는 왜 중국에서만? | 희토류 주요 원소 가치와 용도 | 희토류 가격
    이슈 & 정보 2025. 9. 2. 21:25
    728x90
    300x250

    희토류 세계 생산, 정제 지형, 그리고 주요 원소 가치와 용도

    1. 희토류 생산의 국제 현황과 비중

    희토류(Rare Earth Elements, REEs)는 17개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첨단산업, 친환경 에너지, 국방 등 미래 산업의 핵심 소재로 평가받고 있다. 희토류 생산과 정제에서는 중국의 압도적 우위가 지속되고 있으며, 각국의 생산량과 비중, 그리고 중국 중심의 정제 구도에 이르게 된 배경을 상세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국가별 희토류 생산량과 비중

    2024년 기준으로, 중국은 전 세계 희토류(산화물 기준)의 약 2/3 이상을 생산하는 1위 국가다. 중국의 연간 생산량은 약 27만 톤으로 추정되며, 미국(약 4.5만 톤), 미얀마, 호주(각각 약 1.8만 톤), 나이지리아, 태국(각각 약 1.3만 톤) 등이 그 뒤를 잇고 있다. 세계 전체 희토류 생산량은 약 39만 톤(2024년 추정)이다.
    아래는 주요 국가별 희토류 생산량(2024년 기준, 단위: 톤)과 비중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한 표다.

    국가연간 생산량(톤)세계 점유율(추정)특징
    중국 270,000 약 70% 이상 광산부터 정제까지 통제, 경쟁국 의존 심화
    미국 45,000 약 11% 상당 수량 중국에 정제 의존
    미얀마 18,000 약 5% 이하 정체성, 환경 문제
    호주 18,000 약 5% 이하 신기술 도입, 자원개발 확대 추진
    나이지리아 13,000 약 3% 이하 생산 급증, 아프리카 자원의 부상
    태국 13,000 약 3% 이하 생산 급증, 동남아 자원의 급부상
     

    중국은 세계 매장량의 44%를 확보하고 있으며, 미국은 1.8%, 국가별로 점유율이 크게 낮다.

    중국 정부는 희토류를 핵심 전략 자원으로 지정해 생산량을 엄격한 쿼터로 관리하고, 불법 채굴 단속, 환경규제 강화 등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3. 왜 정제는 중국에서?

    정제는 희토류를 광석에서 분리해 순수 원소로 추출하는 과정으로, 기술적, 환경적, 경제적 난이도가 매우 높다.
    중국은 2020년대 후반에도 전 세계 정제 능력의 90~99%를 독점하고 있다.이는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가능했다.

    • 국가적 전략과 투자 : 1980년대부터 중국이 프랑스 등에서 정제 기술을 도입해 집중 개발했으며, 정부 차원의 대규모 투자가 이어졌다.
    • 기술적 노하우 축적 : 정제 과정은 복잡하고, 폐수, 방사성 폐기물 등 환경오염이 심각해 선진국에서는 사업장 확보, 환경 규제 준수 비용이 커 수익구조가 어렵다.
    • 환경 비용과 규제 : 희토류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오염, 특히 방사성 폐기물 처리 부담은 선진국에서 희토류 사업을 기피하게 만드는 핵심 요인이다. 중국은 환경 기준이 낮고, 노동력이 저렴해 대규모 투자 및 생산이 가능했다
    • 시장 지배력 확보 : 중국은 정제 후 제품 가공까지 전 유통망을 통제하며, 희토류 정제 부문에서 미국·유럽·일본 등 경쟁국을 의존하게 만들었다.
    • 정책적, 비즈니스 리스크 : 경쟁국들은 중국 의존도를 낮추기 위해 정제 시설 건설에 나서고 있지만, 환경·규제·기술·투자 등 모든 면에서 장벽이 높아 단기간에 양산 구조를 갖추기 어렵다.

    유럽연합의 경우, 방사성 폐기물 영구 저장 문제와 환경규제, 지역 주민 반발 등으로 투자가 지연되고 있다
    미국은 자체 광산에서 원석을 채굴하지만, 여전히 원재료 대부분을 중국에 정제 의존하는 구조다.

     


    4. 희토류의 중요성과 중국의 전략적 활용

    중국의 희토류 통제력은 국제 정치·경제 지형상 강력한 리스크 요인으로 부상했다. 중국이 희토류 수출을 제한할 경우, 글로벌 첨단산업(반도체, 전기차, 군수, 에너지 등)은 심각한 공급망 차질을 겪게 된다.
    중국 정부는 희토류 에너지 저장, 전기차, 로봇, 통신, 국방 등 핵심 산업용 소재로 활용되며, 미중 기술분쟁, 무역전쟁에서 최종 수단으로 동원되기도 한다.
    이런 글로벌 공급망 조종(leverage)은 중국 본토 내 수요 증가(전기차, 풍력, LED 등)와 맞물려 더욱 견고해졌다.


    5. 주요 희토류 5종 및 가격, 용도

    희토류 17종 중에서도 네오디뮴(Neodymium), 프라세오디뮴(Praseodymium), 디스프로슘(Dysprosium), 테르븀(Terbium), 란타늄(Lanthanum)이 상용화, 산업적 중요성이 높은 5대 원소다. 아래에 각 원소의 특성, 1kg당 가격(최신 시세), 주된 용도를 정리한다.

    1. 네오디뮴(Nd)

    • 가격 : 1kg당 $77.31 ~ $110 (산화물 기준, 시장 변동 크게 발생)
    • 용도 : NdFeB(네오디뮴 계열 영구자석)의 핵심 소재. 전기차, 풍력발전, 로봇 등 첨단 산업용 고성능 영구자석의 90% 이상을 점유.
      예: 전기차 1대당 1~2kg, 풍력발전 1기당 최대 600kg 사용.
    • 특징 : 경량, 고성능, 친환경 에너지 전환의 핵심.
    • 가치 : 2025년 기준 시장규모 약 35억 달러.

    2. 프라세오디뮴(Pr)

    • 가격 : 1kg당 $83.29 ~ $110 (산화물 기준)
    • 용도 : NdFeB 및 NdPrFeB 자석 부가, Nd와 혼합해 자석 내구성, 내식성, 온도 안정성 강화.
      항공기, 군사, 자동차, 풍력발전 등 고성능·고신뢰도 부품에 사용.
    • 특징 : Nd와 매우 유사한 특성을 가지며, 혼합 사용이 일반적.
    • 가치 : 2025년 기준 시장규모 약 12억 달러.

    3. 디스프로슘(Dy)

    • 가격 : 1kg당 $297.37
    • 용도 : NdFeB 자석의 고온 내구성 부가. 고온 환경에서 자력 강도(코어시티) 향상.
      전기차, 산업용 장비, 풍력발전용 대형 발전기, 로봇용 모터, 항공기, 우주선, 첨단 군사장비 등에 필수.
    • 특징 : 중희토류 부문에서는 상대적으로 희소성이 높아 가격이 급등중.
    • 가치 : 고가, 소량이지만 첨단 전장산업에서 필수적.

    4. 테르븀(Tb)

    • 가격 : 1kg당 $1,122.02
    • 용도 : NdFeB 자석의 성능 첨가, 친환경 조명(LED), 디스플레이, 자동차 HID, 고효율 센서, 레이저, 미래 에너지 저장 시스템 등.
    • 특징 : 가장 고가 원소 중 하나로, 공급 부족 리스크가 매우 큼.
    • 가치 : 첨단 산업 전장품, 녹색 경제의 핵심 소재.

    5. 란타늄(La)

    • 가격 : 1kg당 $2.96
    • 용도 : 하이브리드 자동차용 니켈수소전지의 음극재, 석유화학 클랜징 촉매, 의료, 광학렌즈.
    • 특징 : 가장 저렴, 과거(2010년대)에는 수급 과잉으로 가격이 폭락했으나, 에너지 저장 및 친환경 산업 확대에 따라 수요가 재증대 중.
    • 가치 : 풍량은 많으나, 니켈수소전지, 석유화학에서 미래 소비가 예상.

    6. 희토류 산업의 미래와 전망

    • 수요 : 전기차, 풍력발전, 친환경 산업 확대에 따라 2030년까지 희토류 수요는 2배 이상 성장할 전망이다.
    • 공급망 다변화 :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유럽, 일본 등은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해 정제 및 가공 인프라를 고도화하고 있다.
    • 정제 산업 고부가가치화 : 중국이 정제에서 가공, 완제품 생산까지 전 유통망 통제를 강화하는 한편, 경쟁국은 생산·정제·가공 내부화 전략을 강화 중이다.
    • 환경 이슈 : 선진국에서는 환경친화적 정제, 방사성 폐기물 무해화, 회수·재활용 등 미래 산업 경쟁력을 담보하기 위한 노력이 확대된다.

    7. 종합 요약

    희토류는 기술 고도화와 친환경 산업 전환의 시대에 꼭 필요한 원소다. 중국이 광산 생산의 70% 이상, 정제의 90% 이상을 통제하면서, 세계 첨단산업의 핵심 공급선(핵심 원재료 생산, 정제, 가공 등)을 사실상 중국이 장악하고 있다.

    주요 희토류 5종의 가격, 용도, 산업적 중요성은 각기 상이하며, 네오디뮴, 프라세오디뮴, 디스프로슘, 테르븀, 란타늄이 가장 중요한 원소로 꼽힌다.
    중국의 희토류 장악력은 중국판 ‘석유 외교’라 불릴 정도로, 미래 글로벌 산업, 에너지 생태계, 국방 분야에서 전략적 위력을 가지는 중이다.

    공급망 안정, 환경 규제, 첨단 기술 및 가치 사슬 확대, 공급망 다변화는 미래 희토류 산업의 핵심 과제다.
    이런 흐름 속에서, 수급 안정을 위한 국가별 대책, 기술개발, 자원 개발, 정제·가공 인프라 확충은 앞으로도 꾸준히 강화될 전망이다.


    표: 주요 희토류 5종의 가격, 용도, 산업적 가치 비교

    원소명가격(1kg/USD) 주요 용도산업적 전략적 가치
    네오디뮴(Nd) $77~$110 NdFeB(NdPr) 영구자석, 전기차, 풍력, 로봇, 첨단 산업 2025년 시장 35억 달러
    프라세오디뮴(Pr) $83~$110 NdFeB(NdPr) 자석 첨가, 항공기, 산업용, 풍력, 자동차 2025년 시장 12억 달러
    디스프로슘(Dy) $297 고온 NdFeB 자석 첨가, 첨단 군사, 우주, 산업장비 고성능·고온 환경 필수
    테르븀(Tb) $1,122 고효율 자석, LED, 디스플레이, HID, 레이저, 첨단 산업 가격 리스크 대폭 상승
    란타늄(La) $2.96 니켈수소전지(하이브리드차), 석유화학 촉매, 광학, 의료 생산 과잉에서 벗어나는 중
     
     

    마지막으로

    희토류는 멀리 보면 에너지, 첨단산업, 국방의 핵심 자원이고, 가까이 보면 극도로 위험한 공급망 의존 리스크다.
    중국의 물류, 산업, 기술, 환경 정책 변화에 따라 전 세계 첨단 생태계가 크게 요동칠 수 있다는 점을 반드시 깊이 고민해야 할 시기다.
    경쟁국들의 내부화, 다변화, 친환경 생산, 재활용, 혁신 기술 개발이 동시다발적으로 추진되고 있는 만큼,
    희토류의 차세대 생태계 변화도 앞으로 큰 이슈가 될 전망이다.

    1. https://qz.com/rare-earths-by-country
    2. https://investingnews.com/daily/resource-investing/critical-metals-investing/rare-earth-investing/rare-earth-metal-production/
    3. https://www.statista.com/topics/1744/rare-earth-elements/
    4. https://www.bbc.com/news/articles/c1drqeev36qo
    5. https://english.ckgsb.edu.cn/knowledge/article/china-dominance-of-rare-earth-and-impact-on-global-market/
    6. https://www.lovemoney.com/gallerylist/420865/what-are-the-17-rare-earths-really-worth
    7. https://discoveryalert.com.au/news/rare-earth-elements-importance-strategic-applications-2025/
    8.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0277/mining-of-rare-earths-by-country/
    9. https://www.fortunebusinessinsights.com/rare-earth-elements-market-102943
    10. https://pubs.usgs.gov/periodicals/mcs2024/mcs2024-rare-earths.pdf
    11. https://www.newsecuritybeat.org/2024/08/mine-the-tech-gap-why-chinas-rare-earth-dominance-persists/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