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2/28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 갈등
    이슈 & 정보 2024. 12. 29. 20:17
    728x90
    300x250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 갈등 내용에 대해 정리했습니다.


    배경 및 원인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긴장은 오랜 역사적, 지정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습니다.

    역사적 갈등


    두 국가 간 갈등의 근원은 19세기 영국 식민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1893년 영국이 일방적으로 설정한 듀랜드 라인(Durand Line)은 현재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의 국경으로 간주되지만, 아프가니스탄은 이를 공식적으로 인정하지 않고 있습니다[7]. 이 국경선은 파슈툰족의 거주 지역을 양분하여 민족 간 갈등의 씨앗이 되었습니다.

    탈레반의 부상과 파키스탄의 역할


    1990년대 아프가니스탄 내전 당시 파키스탄은 탈레반을 지원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아프가니스탄의 안정이 자국의 안보와 경제에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7]. 그러나 2001년 9/11 테러 이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침공으로 탈레반 정권이 무너지면서 상황이 복잡해졌습니다.

    최근의 갈등 심화


    2021년 8월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을 재장악한 이후, 파키스탄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되었습니다. 파키스탄은 자국 내에서 발생하는 테러의 배후로 아프가니스탄 내 무장단체들을 지목하고 있습니다. 특히 파키스탄 탈레반(TTP)의 활동이 아프가니스탄 탈레반의 지원을 받고 있다고 의심하고 있습니다[9].

    주요 내용


    탈레반의 공격

    아프가니스탄 탈레반 정부는 파키스탄 전투기의 아프가니스탄 영토 내 공습에 대한 보복으로 파키스탄 국경 인근 여러 지점을 공격했다고 밝혔습니다[9]. 탈레반 국방부는 이 공격이 "가상의 선 너머"에서 이루어졌다고 언급했는데, 이는 듀랜드 라인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됩니다.

    파키스탄의 대응

    파키스탄 군은 탈레반 전투원들이 국경 초소를 공격했다고 주장하며, 반격으로 15명 이상의 탈레반 전투원을 사살했다고 발표했습니다. 파키스탄은 이전에도 아프가니스탄 영토 내에서 공습을 감행한 바 있으며, 이는 자국 내 테러 공격의 배후로 지목되는 무장단체들을 겨냥한 것이라고 주장해왔습니다[9].

    양국의 주장

    탈레반은 이번 공격이 파키스탄의 공습에 대한 정당한 보복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반면 파키스탄은 탈레반이 파키스탄 탈레반(TTP)을 지원하고 있다고 비난하며, 자국 안보를 위한 조치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일시


    이번 사건은 2024년 12월 28일경에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9]. 그러나 양국 간의 군사적 긴장은 이미 수개월 전부터 고조되어 왔습니다.


    주변국에 미치는 영향


    중국

    중국은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 모두와 국경을 접하고 있어 이 지역의 안정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신장 위구르 자치구의 안정과 일대일로 사업의 성공을 위해 아프가니스탄의 안정이 필수적입니다. 중국은 탈레반이 신장 위구르 내 동투르키스탄 이슬람 운동(ETIM)의 아프간 연계를 차단한다면 탈레반을 인정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5].

    러시아

    러시아는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관계를 통해 이 지역의 안정에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아프가니스탄발 이슬람 극단주의의 확산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러시아는 탈레반과의 대화 채널을 유지하면서도, 중앙아시아 국가들과의 군사 협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5].

    인도

    인도는 파키스탄과의 오랜 갈등으로 인해 아프가니스탄 정세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습니다. 탈레반 정권이 파키스탄과 밀접한 관계를 구축할 경우 역내에서 인도의 입지가 좁아질 수 있다는 우려를 가지고 있습니다. 인도는 최근 탈레반에 대해 우호적인 접근을 시도하고 있습니다[5].

    중앙아시아 국가들

    투르크메니스탄, 우즈베키스탄, 타지키스탄 등 아프가니스탄과 국경을 접한 중앙아시아 국가들은 아프가니스탄발 불안정의 확산을 막아야 하는 입장입니다. 특히 이슬람 극단주의 세력의 자국 내 침투를 우려하고 있습니다[5].

    이란

    이란은 아프가니스탄과 긴 국경을 공유하고 있으며, 탈레반 정권의 안정과 마약 거래 차단에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아프가니스탄 내 시아파 하자라족의 권리 보호에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한국에 미치는 영향


    경제적 영향

    한국의 대(對) 파키스탄 및 아프가니스탄 직접 교역량은 크지 않지만, 이 지역의 불안정은 글로벌 공급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에너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경우 한국 경제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안보적 영향

    아프가니스탄-파키스탄 간 갈등 심화는 테러 위협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한국의 해외 주재원이나 여행객들의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으며, 국제 테러리즘의 확산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외교적 대응

    한국 정부는 이 지역의 안정화를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에 동참할 필요가 있습니다. UN 등 국제기구를 통한 중재 노력이나 인도적 지원 등에 참여할 수 있을 것입니다.

    난민 문제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난민 문제가 국제적 이슈로 부상할 수 있습니다. 한국도 국제사회의 일원으로서 난민 수용 및 지원에 대한 압력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결론

    아프가니스탄 탈레반과 파키스탄 간의 군사적 충돌은 오랜 역사적 갈등과 복잡한 지역 정세의 결과입니다. 이번 사태는 단순한 국경 분쟁을 넘어 지역 전체의 안정을 위협하는 심각한 사안입니다. 국제사회의 신속하고 효과적인 중재가 필요하며, 양국 간의 대화와 협력을 통한 평화적 해결이 시급합니다. 한국을 포함한 국제사회는 이 지역의 안정화를 위해 외교적, 경제적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동시에 이 사태가 초래할 수 있는 경제적, 안보적 영향에 대비하여 국내적으로도 만반의 준비를 갖추어야 할 것입니다.

    출처
    [1] [뉴스 따라잡기] 아프간 무장조직 '탈레반' - VOA 한국어 https://www.voakorea.com/a/world_behind-news_who-taliban/6061099.html
    [2] 파키스탄-탈레반 '협력관계' 왜?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rabafrica/226637.html
    [3] '탈레반 소탕' 갈등…아프간-파키스탄 긴장 고조 - KBS 뉴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1579623
    [4] 2022년 아시아 정세전망(10)2022년에 아프가니스탄의 탈레반 정권과 ... https://snuac.snu.ac.kr/?p=35194
    [5] 미군 철군과 탈레반 복귀 관련 - 외교안보연구소 http://www.ifans.go.kr/knda/ifans/kor/pblct/PblctView.do?csrfPreventionSalt=null&koreanEngSe=KOR&menuCl=P07&pblctDtaSn=13838&clCode=P07
    [6] 탈레반의 아프가니스탄 재장악과 향후 전망 -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https://snuac.snu.ac.kr/?p=33396
    [7] 아프가니스탄 전쟁 (2001년~2021년) - 위키백과 https://ko.wikipedia.org/wiki/%EC%95%84%ED%94%84%EA%B0%80%EB%8B%88%EC%8A%A4%ED%83%84_%EC%A0%84%EC%9F%81_(2001%EB%85%84~2021%EB%85%84)
    [8] 파키스탄군, 아프간 국경 넘어 공습…42명 사망, 긴장 고조 - 한겨레 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america/1039330.html
    [9] 아프간 '탈레반', 파키스탄에 보복 공격…국경 분쟁 격화 - VOA 한국어 https://www.voakorea.com/a/7916865.html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