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 ADHD 확률과 최근 동향 | 유아 ADHD 판단 기준 | 진단 | 검사방법 | 유병률 | 원인 | 치료법 | 교육법이슈 & 정보 2025. 1. 19. 22:21728x90300x25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는 아동기에 흔히 나타나는 신경발달장애로, 주의력 부족, 과잉행동, 충동성을 주요 특징으로 합니다.
ADHD는 아동의 학업 성취와 사회적 관계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이 매우 중요합니다.ADHD의 유병률과 최근 동향
최근 연구에 따르면, ADHD의 유병률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국내 초등학생의 경우 약 6~8%가 ADHD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 세계적으로는 학령기 아동의 3~8% 정도가 ADHD로 진단받고 있습니다[1][5].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최근 4년 사이 ADHD로 진료를 받은 아동·청소년의 수가 급증했다는 것입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의 자료에 따르면, 2018년에 비해 2022년 6~18세 ADHD 진료 인원이 82.19% 증가했습니다[15]. 이는 ADHD에 대한 인식 개선과 진단 기준의 변화, 그리고 사회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습니다.
성별에 따른 차이도 주목할 만합니다. 일반적으로 남아가 여아보다 ADHD 진단을 받는 비율이 3~4배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1]. 그러나 최근에는 여아의 ADHD, 특히 주의력 결핍 우세형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여아의 진단률도 증가하고 있습니다[8].ADHD의 원인
ADHD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 유전적 요인: ADHD는 유전성이 높은 장애로, 부모가 ADHD를 가진 경우 자녀가 ADHD를 가질 확률이 57%에 이를 정도로 높습니다[12].
2. 신경생물학적 요인: 주의집중과 행동 조절에 관여하는 뇌 영역의 구조 및 기능 이상, 그리고 도파민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ADHD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10].
3. 환경적 요인: 임신 중 산모의 흡연이나 알코올 섭취, 출생 시 저체중, 납 중독 등의 환경적 요인도 ADHD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습니다.ADHD의 검사 및 진단 방법
ADHD의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종합적인 평가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임상 면담: 아동의 행동, 발달 이력, 가족력 등에 대해 부모와 상세한 면담을 진행합니다.
2. 행동 관찰: 가정과 학교에서의 아동의 행동을 관찰합니다. 최소 두 가지 다른 환경에서 증상이 나타나야 합니다[4].
3. 평가 척도: DSM-5 기준을 따르는 ADHD 평가 척도를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Conners 아동 행동 평가척도, ADHD 평가 척도-IV 등이 있습니다[1].
4. 심리검사: 지능검사, 주의력 검사 등을 실시합니다. 컴퓨터를 이용한 연속수행검사(ATA 또는 CAT)가 많이 활용됩니다[17].
5. 의학적 검사: 다른 의학적 문제를 배제하기 위해 필요한 경우 혈액 검사 등을 실시할 수 있습니다[4].
진단 기준으로는 주의력 결핍 또는 과잉행동/충동성 증상 9가지 중 6가지 이상이 6개월 이상 지속되어야 하며, 7세 이전에 시작되어야 합니다[10].ADHD의 치료법
ADHD의 치료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1. 약물치료:
- 중추신경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가 주로 사용되며, ADHD 환자의 70~85%에서 효과를 보입니다[7].
- 약물치료는 주의집중력 향상, 과잉행동 감소, 충동성 조절에 도움을 줍니다.
- 일반적으로 1년 반에서 2년 정도 지속적인 치료가 필요합니다[10].
2. 비약물치료:
- 행동치료: 부모교육과 아동기술훈련이 주요 방법입니다[11].
- 인지행동치료: 자기조절능력 향상에 도움을 줍니다[3].
- 사회기술훈련: 또래관계 개선에 효과적입니다[11].
- 학습치료: 학업 수행 능력 향상을 위해 필요할 수 있습니다[3].ADHD 아동의 교육 방법
ADHD 아동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해서는 가정과 학교에서의 일관된 접근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주요 교육 전략입니다:
1. 구조화된 환경 제공:
- 일정한 일과와 명확한 규칙을 설정합니다.
- 주의를 분산시키는 요소를 최소화합니다[16].
2. 긍정적 강화:
- 바람직한 행동에 대해 즉각적이고 구체적인 칭찬을 제공합니다.
- 보상 시스템을 활용하여 동기를 부여합니다[6].
3. 과제 관리:
- 큰 과제를 작은 단위로 나누어 제시합니다.
- 시각적 보조 자료를 활용하여 과제 수행을 돕습니다[16].
4. 자기관리 기술 훈련:
- 시간 관리, 계획 세우기, 자기 점검 등의 기술을 가르칩니다[16].
5. 개별화된 교육:
- 아동의 강점을 파악하고 이를 활용한 학습 전략을 개발합니다.
- 필요에 따라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IEP)을 제공합니다[4].
6. 학교-가정 연계:
- 교사와 부모 간의 지속적인 소통을 통해 일관된 접근을 유지합니다[13].
7. 사회성 향상 지원:
- 또래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활동을 제공합니다.
- 갈등 해결 기술을 가르칩니다[11].
8. 신체 활동 장려:
- 정기적인 운동이나 체육 활동을 통해 과잉 에너지를 해소하고 집중력을 향상시킵니다.
9. 테크놀로지 활용:
- 주의집중을 돕는 앱이나 소프트웨어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10. 정서적 지원:
- 아동의 자존감을 높이고 좌절감을 줄이기 위한 정서적 지원을 제공합니다[6].
ADHD는 평생 지속될 수 있는 장애이지만, 조기 발견과 적절한 개입을 통해 증상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아동의 잠재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습니다.
교육자와 부모, 의료진의 협력적 접근이 ADHD 아동의 성공적인 발달과 학습을 위해 필수적입니다.
또한, ADHD에 대한 사회적 인식 개선과 지원 체계 구축을 통해 ADHD 아동들이 겪는 어려움을 줄이고 그들의 강점을 발견하고 발전시킬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1] 미처 몰랐던 '초등 ADHD' 증상, 검사, 치료 방법 - 하이닥 http://news.hidoc.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48
[2] 정신과 의사도 우려하는 ADHD 증가세…4년새 2배 껑충 - 메디칼타임즈 https://www.medicaltimes.com/Mobile/News/NewsView.html?ID=1154972
[3] ADHD - 연세주니어 상담센터 https://happyjunior.co.kr/child01
[4] 주의력 결핍/과잉행동 장애(ADHD) - 아동의 건강 문제 - MSD 매뉴얼 https://www.msdmanuals.com/ko/home/%EC%95%84%EB%8F%99%EC%9D%98-%EA%B1%B4%EA%B0%95-%EB%AC%B8%EC%A0%9C/%ED%95%99%EC%8A%B5%EA%B3%BC-%EB%B0%9C%EB%8B%AC-%EC%9E%A5%EC%95%A0/%EC%A3%BC%EC%9D%98%EB%A0%A5-%EA%B2%B0%ED%95%8D-%EA%B3%BC%EC%9E%89%ED%96%89%EB%8F%99-%EC%9E%A5%EC%95%A0-adhd
[5]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의 소아와 성인에서 주의력 ... https://jknpa.org/DOIx.php?id=10.4306%2Fjknpa.2021.60.4.320
[6] ADHD 치료엔 약물치료 외에 어떤 방법이 있을까? - 아이행복정신의학과 http://www.iadhd.co.kr/bbs/board.php?bo_table=news&wr_id=206
[7]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 - 국립나주병원 http://www.najumh.go.kr/html/content.do?depth=fc&menu_cd=02_04_00_01
[8] [내외신문] 장난꾸러기와 ADHD의 차이점... https://www.naewaynews.com/313626
[9]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ADHD)과 대처 방안 > 질환정보 - 전주예수병원 https://www.jesushospital.com/post/3483
[10] [소아청소년 정신건강의학과]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depts/child/K/bbsDetail.do?menuId=4342&contentId=259913
[11] 비약물치료 - ADHD 바로알기 https://adhd.or.kr/m/adhd/adhd08.php
[12]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학생에게 다가서다 - 한국교원대신문 https://news.knue.ac.kr/news/articleView.html?idxno=12349
[13] ADHD | 아동·청소년 | 정신건강정보 https://www.spmind.or.kr/sub.php?menukey=46
[14] [PDF] A D H D 자 녀 이해하기 - 국립정신건강센터 https://www.ncmh.go.kr/static/jsp/viewHtmlDownload.jsp?filename=ADHD_%EB%B6%80%EB%AA%A8%EA%B5%90%EC%9C%A1_%EC%9B%8C%ED%81%AC%EB%B6%81.pdf&filePath=%2F2022%2F03%2F20220330084926332168_1.pdf
[15] ADHD 진료받은 어린이·청소년, 최근 4년새 82% 급증 - 연합뉴스 https://www.yna.co.kr/view/AKR20230811145400530
[16] ADHD 학생에 대한 교육적 접근 - 행복한 교육 - 교육부 https://happyedu.moe.go.kr/happy/bbs/selectHappyArticleImg.do?nttId=3757&bbsId=BBSMSTR_000000000192
[17] ADHD증상부터 검사, 치료법까지…'초등ADHD'의 모든 것 - post.naver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6648065&memberNo=28656674&searchKeyword=%EC%84%B1%EC%9D%B8adhd&searchRank=66
[18] ADHD의 현주소 : 원인과 진단 - 카이스트신문 https://times.kaist.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937
[19] 소아ADHD치료방법과 ADHD검사방법 -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healim0130/221583190507?viewType=pc
[20]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 질환백과 | 의료정보 - 서울아산병원 https://www.amc.seoul.kr/asan/healthinfo/disease/diseaseDetail.do?contentId=31886
[21] [PDF] 국민건강보험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한 한국의 소아와 성인에서 주의력 ... https://jknpa.org/pdf/10.4306/jknpa.2021.60.4.320
[22]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아의 학교생활 도와주기 - 국립특수교육원 https://www.nise.go.kr/jsp/field/2010-2/05.jsp728x90반응형'이슈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SDI 최주선 사장 | 소형 배터리 라인 방문 배경 | 주요 추진사업 | 삼성SDI 캐즘 해결 전략 (0) 2025.01.19 2024년 국가별 수출액 순위 | 대한민국 수출액 규모와 순위 | 수출 TOP 10 국가 (0) 2025.01.19 검찰 직급체계 | 차장검사 vs 부장검사 누가 더 높을까? (1) 2025.01.19 상조시장의 폭발적 성장: 10조원 시대를 향한 질주 (0) 2025.01.18 뽀빠이 저작권 만료 | 저작권 의미 | 뽀빠이 | 역사 | 탄생과 작품 | 활용가능성 | 알아보기 (0) 2025.0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