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Brain Rot 뜻 | 밈 유행 | 독서가 사라진 세대 | 지루한 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이슈 & 정보 2025. 5. 4. 17:00
    728x90
    300x250

    BRAIN ROT(뇌 썩음) 뜻


    BRAIN ROT(브레인 로트, 뇌 썩음)은 문자 그대로는 ‘뇌가 썩는다’는 뜻이지만, 실제로는 현대 사회에서 저품질·하찮은 정보, 특히 온라인과 SNS에서 쏟아지는 짧고 자극적인 콘텐츠를 과도하게 소비한 결과, 인간의 정신적·지적 상태가 퇴보하는 현상을 의미한다[1][14][17]. 즉, 단순히 뇌의 물리적 손상이 아니라, 의미 없고 반복적인 디지털 콘텐츠에 몰입하면서 사고력, 집중력, 창의력 등 지적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을 가리킨다[2][3][12][16].

    이 용어는 2024년 옥스퍼드 영어사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될 만큼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으며, 특히 Z세대와 알파세대가 온라인상에서 자주 사용하고 있다[2][14][17]. 인터넷 발명 이전인 1854년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저서 『월든』에서 이미 ‘지적 수준의 저하’를 비판하는 맥락에서 쓰인 바 있다[1][2][16].


    밈(Meme)으로서의 유행 이유


    1. 숏폼 콘텐츠의 폭발적 확산
    - 틱톡, 유튜브 쇼츠, 인스타그램 릴스 등 짧고 자극적인 영상이 대중화되면서, 깊이 있는 사고나 학습보다는 즉각적이고 단순한 자극을 추구하는 풍조가 확산되었다[1][14][4].
    - 이러한 숏폼 콘텐츠는 반복적이고, 맥락이 없거나 비논리적인 경우가 많아 ‘brain rot’ 밈의 대표적 예시가 된다[4].

    2. 집단적 자기 풍자와 공감
    - “brain rot”는 자신이 의미 없는 콘텐츠에 중독된 상태를 자조적으로 표현하는 밈으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나만 그런 게 아니구나’라는 공감대를 형성한다[4].
    - ‘스키비디 토일렛’, ‘Only in Ohio’ 등 반복적이고 초현실적인 밈이 대표적이다[2][4].

    3. 세대적 특성과 온라인 문화
    - Z세대, 알파세대는 인터넷 밈, 게임, 유행어 등으로 소통하며, 이들의 어휘와 유머 코드가 ‘brain rot’ 현상을 더욱 가속화한다[2][3].
    -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는 정보 소비 속도가 빠르고, ‘의미 없음’ 자체를 유희로 소비하는 경향이 있다.


    최근 세대들이 지루한 학습을 거부하는 이유


    1. 디지털 환경의 변화
    - 젊은 세대는 디지털 기술에 능숙하고, 멀티미디어 자료를 활용한 빠른 정보 습득에 익숙하다[7].
    - 전통적인 텍스트 기반 학습이나 긴 호흡의 독서보다는, 시각적·청각적 자극이 강한 영상을 선호한다[5][7].

    2. 학습 동기와 흥미의 변화
    - 프로젝트 기반, 게임화, 온라인 협력 등 능동적이고 자기주도적인 학습을 선호하며, 수동적이고 일방적인 강의식 교육에는 흥미를 잃는다[7].
    - 학습 내용이 자신의 수준이나 관심과 맞지 않거나, 교사의 전달 방식이 지루하면 쉽게 ‘재미없다’고 느낀다[11].

    3. 정보 과잉과 집중력 저하
    - 짧은 시간에 많은 정보를 소비하려는 습관이 형성되면서, 한 가지 일에 깊이 몰입하기 어려워졌다[1][5].
    - 반복적이고 자극적인 콘텐츠에 익숙해진 뇌는, 느리고 복잡한 학습 과정을 ‘지루함’으로 인식하게 된다.


    독서의 사라짐과 원인


    1. 독서율의 급격한 감소
    - 최근 10년간 한국의 성인 독서율은 2013년 72.2%에서 2021년 47.5%로 급감했다[6][9][10].
    - 20대, 10대 등 젊은 세대일수록 독서량 감소 폭이 크다. 20대의 연평균 독서량은 10년 만에 절반 이하로 줄었다[9].

    2. 독서를 멀리하는 주요 이유
    - ‘일 때문에 시간이 없어서’, ‘책 이외의 매체 및 콘텐츠 이용’이 가장 큰 이유로 꼽힌다[6][8][10].
    - 학생들은 ‘스마트폰, 인터넷, 게임 등’에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며, 책 읽는 습관 자체가 약해지고 있다[6][5].
    - 책이 재미없고, 시험·과제 등 강요된 독서 경험이 부정적으로 작용한다[6][9].

    3. 사회·문화적 요인
    - 한국 사회 특유의 빠른 트렌드 흡수, 집단 소속감, 과도한 경쟁과 피로감도 독서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9].
    - 즉각적 만족을 주는 콘텐츠가 넘쳐나는 환경에서, 느리고 사유가 필요한 독서는 점점 외면받는다[9][10].


    문제점 및 사회적 영향


    1. 지적·정신적 능력 저하
    - 의미 없는 콘텐츠의 반복 소비는 사고력, 집중력, 창의력 저하로 이어진다[1][2][14].
    - 깊이 있는 독서와 학습의 기회가 줄어들며, 사회 전반의 문해력·비판적 사고력 저하로 연결된다[5][13].

    2. 공감·이해·철학적 기반 약화
    - 독서율 하락은 사회의 근원적 철학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타인에 대한 공감·이해·존중의 능력을 저하시킨다[13].
    - 출판 시장 축소, 양질의 콘텐츠 감소, 다양한 책에 노출될 기회 상실 등 문화적 다양성도 위협받는다[13].

    3. 국가 경쟁력 저하
    - 독서율과 국가경쟁력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다. 독서율이 낮은 국가는 경제적·사회적 경쟁력도 떨어질 수 있다[10].

    4. 사회적 불안과 자기이해 결여
    - 자기이해, 자존감 회복 등 독서가 주는 내적 성장 기회가 줄어들면서, 사회적 우울·불안이 심화될 수 있다[9].


    결론 및 제언


    ‘BRAIN ROT’는 단순한 유행어를 넘어, 현대 디지털 사회의 정보 과잉과 저품질 콘텐츠 소비가 인간의 정신·지적 건강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젊은 세대는 빠르고 자극적인 콘텐츠에 익숙해지면서, 전통적 학습과 독서에서 멀어지고 있다. 이는 문해력 저하, 사회적 공감력 약화, 국가 경쟁력 저하 등 다양한 문제로 이어진다.

    이러한 흐름을 막기 위해서는 개인적 차원의 독서 습관 회복 노력과 더불어, 사회적·제도적 차원의 독서 인프라 확충, 독서의 즐거움을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환경 조성, 그리고 다양한 독서 프로그램의 활성화가 필요하다[9][10][15]. 독서는 단순한 지식 습득을 넘어, 자기이해와 사회적 성찰, 그리고 더 나은 미래를 위한 필수적 자산임을 잊지 않아야 한다.




    출처
    [1] [  ✒️ 오늘의 경제 상식] Brain rot(뇌 썩음) - 네이버 프리미엄콘텐츠 https://contents.premium.naver.com/jusikdante/jusikdante1/contents/241206110711613yr
    [2] 브레인 로트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ko.wikipedia.org/wiki/%EB%B8%8C%EB%A0%88%EC%9D%B8_%EB%A1%9C%ED%8A%B8
    [3] Brain rot - Wikipedia https://en.wikipedia.org/wiki/Brain_rot
    [4] Brain Rot Explained: Inside the Viral Internet Phenomenon - AFFiNE https://affine.pro/blog/brain-rot-tips
    [5] 읽어내지 못하는 청년들… 문해력 위기의 시대 - 건대신문 https://popkon.konkuk.ac.kr/news/articleView.html?idxno=21995
    [6] 책을 멀리하는 이유 - 대구일보 https://www.idaegu.com/news/articleView.html?idxno=473979
    [7] 젊은 세대(20대_30대)와 노년세대(60대이상)의 차이점 비교 https://www.happycampus.com/aiWrite/topicWiki/12545/
    [8] 읽지 않는 사회, 조장하는 국가 〈1126호〉 - 명대신문 https://news.mju.ac.kr/news/articleView.html?idxno=12514
    [9] 한국은 어쩌다 책과 멀어졌나 - ANTIEGG 그레이 https://antiegg.kr/20065/
    [10] [책읽는나라] "독서 필요성 못 느껴" 성인 10명 중 4명은 1년 책 한 권 안 ... http://www.readingnews.kr/news/articleView.html?idxno=7645
    [11] 학생들이 내 수업에 대하여 재미없다고 말한다면 https://eduhope88.tistory.com/123
    [12] 옥스퍼드 사전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단어 '뇌 썩음'(brain rot ... https://www.instagram.com/dailyfashion_news/p/DDEw6lbvc7Q/
    [13] 낮아지는 독서율, 이대로 괜찮을까?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13jJ/14
    [14] 릴스 그만 보세요… '뇌 썩음(Brain rot)' 옥스퍼드 올해의 단어 - 국민일보 https://www.kmib.co.kr/article/view.asp?arcid=0020815024
    [15] 2028년까지 성인 독서율 50% ↑…습관 기르기·환경 개선 등 지원 https://www.korea.kr/news/policyNewsView.do?newsId=148928308
    [16] “brain rot”이 뭐냐면… '뇌 썩음'은 문자 그대로는 “뇌가 썩는다”는 뜻 ... https://www.threads.net/@daniel_mhkim/post/DDGZBy0PM_4
    [17] 옥스퍼드, 올해의 단어는 brain rot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120289401
    [18] 텍스트힙 열풍과 거리의 '뇌 썩음(brain rot)' [김선걸 칼럼] - 매일경제 https://www.mk.co.kr/economy/view.php?sc=50000001&year=2025&no=22863
    [19] 퉁퉁퉁 사후르 밈 궁금한 사람들 당장 들어오세요 - 위픽레터 https://letter.wepick.kr/wpltd/%EB%B0%88%ED%82%A4%ED%94%BC%EB%94%94%EC%95%84/4434279/
    [20] Italian Brainrot memes 2025: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the ... https://timesofindia.indiatimes.com/technology/social/italian-brainrot-memes-2025-everything-you-need-to-know-about-the-viral-tiktok-trends-from-tung-tung-sahur-to-lirilarila/articleshow/120756370.cms
    [21] Why teenagers are deliberately seeking brain rot on TikTok - Psyche https://psyche.co/ideas/why-teenagers-are-deliberately-seeking-brain-rot-on-tiktok
    [22] 요즘 유행하는 짤, 이탈리안 브레인롯 밈 쉽게 만드는 방법 - 캐럿 https://carat.im/blog/italian-brainrot-meme-creation
    [23] What is 'brain rot'? TikTokers are using the term to describe ... - Yahoo https://www.yahoo.com/news/what-is-brain-rot-tiktokers-are-using-the-term-to-describe-the-impact-of-being-chronically-online-211105483.html
    [24] Why is 'brain rot' becoming more popular, and how Indians ... - Mid-day https://www.mid-day.com/sunday-mid-day/article/brain-rot-is-oxford-dictionarys-2024-word-of-the-year-and-heres-how-indians-are-jumping-on-the-bandwagon-23442508
    [25] '뇌썩음(brain rot)' 이 올해의 단어로 선정된 이유 -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2mqnvcP3mkk
    [26] What is "brainrot"? : r/NoStupidQuestions - Reddit https://www.reddit.com/r/NoStupidQuestions/comments/18mk3is/what_is_brainrot/
    [27] What Is Brain Rot And Why Is The Internet Talking About It - NDTV https://www.ndtv.com/world-news/what-is-brain-rot-and-why-is-the-internet-talking-about-it-5889964
    [28] Italian Brainrot 밈은 왜 생기게 된 건가요? - 아하 https://www.a-ha.io/questions/4af2a913a0b3c88284a112187b4aa2c6
    [29] brainrot Meaning & Origin | Slang by Dictionary.com https://www.dictionary.com/e/slang/brainrot/
    [30] [PDF] 학부모 웹진 누리 https://www.parents.go.kr/site/par/webzine/2487849/images/download.pdf
    [31] MZ세대와 공감하는 법: '요즘 애들은' 대신 세대 차이를 이해하는 소통 ... https://good-adults.kr/mz%EC%84%B8%EB%8C%80%EC%99%80-%EA%B3%B5%EA%B0%90%ED%95%98%EB%8A%94-%EB%B2%95-%EC%9A%94%EC%A6%98-%EC%95%A0%EB%93%A4%EC%9D%80-%EB%8C%80%EC%8B%A0-%EC%84%B8%EB%8C%80-%EC%B0%A8%EC%9D%B4%EB%A5%BC/
    [32] 점점 사라지는 '독서 문화'...원인은?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pns_2017/223818750904
    [33] [데이터] 알파세대(초등) 미디어 기획조사 2024 - 대학내일20대연구소 https://www.20slab.org/Archives/38812
    [34] 우리는 왜 점점 책과 멀어질까? - 서울대저널 http://www.snujn.com/news/60909
    [35] 젊은 세대와의 소통 - 브런치스토리 https://brunch.co.kr/@c8cb5668a5a3486/55
    [36] 10명 중 6명은 책 한 권도 안 읽는 사회…“독서정책 콘트롤 타워 없다” https://www.hani.co.kr/arti/culture/culture_general/1140064.html
    [37] [PDF] 한국 공교육 미래방향 제안 - 교육을바꾸는사람들 https://21erick.org/wp-content/uploads/2020/05/%ED%95%9C%EA%B5%AD-%EA%B3%B5%EA%B5%90%EC%9C%A1-%EB%AF%B8%EB%9E%98%EB%B0%A9%ED%96%A5-%EC%A0%9C%EC%95%882013.pdf
    [38] 성인 독서율 감소, 원인… '스마트폰의 일상적 이용' - 동아일보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160122/76072147/3
    [39] '요즘 애들은'으로 시작하는 태도가 화근. 책상 앞에만 붙어 있는 당신 ... https://dbr.donga.com/article/view/1101/article_no/8641
    [40] [책읽는 한국]② 독서와 멀어진 어른들...시간 때문이라고? - 뉴스포스트 https://www.newspost.kr/news/articleView.html?idxno=202790
    [41] [신종우 칼럼-47] 학생들의 문해력, 족보와 족발 사이에서 길을 잃다 https://www.edpl.co.kr/news/articleView.html?idxno=14780
    [42] [PDF] 초등학생의 학습기술 및 학습태도가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https://repository.pknu.ac.kr:8443/bitstream/2021.oak/31663/2/%EC%B4%88%EB%93%B1%ED%95%99%EC%83%9D%EC%9D%98%20%ED%95%99%EC%8A%B5%EA%B8%B0%EC%88%A0%20%EB%B0%8F%20%ED%95%99%EC%8A%B5%ED%83%9C%EB%8F%84%EA%B0%80%20%ED%95%99%EC%97%85%EC%84%B1%EC%B7%A8%EC%97%90%20%EB%AF%B8%EC%B9%98%EB%8A%94%20%EC%98%81%ED%96%A5.pdf
    [43] 독서매체에 따른 소설 읽기가 사회적 인지에 미치는 영향력 비교 https://dspace.kci.go.kr/handle/kci/2062998
    [44] 지루한 연산 수학은 그만! 반복 연산 학습의 위험성 살펴보기 https://blog.naver.com/jloger/220784599269
    [45] '산만한 마음을 집중력으로 바꾸기: 학생들의 자세와 학습태도 개선 ... https://blog.naver.com/helo70/223198504156
    [46] 보도자료 - 개인적 독서에서 함께 공유하는 사회적 독서로 전환 https://www.mcst.go.kr/kor/s_notice/press/pressView.jsp?pSeq=17258
    [47] 학업상황에서 지루함: 개념, 특성, 교육적 시사점 - 교육심리연구 - DBpia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443475
    [48] 현행 독서교육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tntbyj/220917033613
    [49] 대학생의 학습법 프로그램 참여가 학습 능력 및 태도 변화에 미치는 ...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953565
    [50] 우수 감상문 소개<독후감상문<독서광장<현대청운고등학교 https://school.use.go.kr/hcu-h/M01070202/view/1219908
    [51] 학습지 사용의 문제점 : 네이버 블로그 https://blog.naver.com/skh1523/220312049484
    [52] [PDF] 지금, '디지털 문해력'을 말하는 이유 - 한우리독서토론논술 https://hanuribook.com/resources/pdf/202206_hanurinewspaper.pdf
    [53] 유밥 X 비누랩스 GenZ 학습동향 리포트 https://www.ubob.com/insight/detail_view/1699
    [54] 학교 경제교육의 실태와 향후 과제 | KDI 경제교육·정보센터 https://eiec.kdi.re.kr/material/clickView.do?click_yymm=201012
    [55] 자는 아이들을 깨우지 마라 - 한국교육사회학회 http://www.soe.or.kr/?c=5%2F37&p=4
    [56] [541호] 책을 잊은 그대에게 - 여론 > 한밭대신문 > 대학신문방송국 https://www.hanbat.ac.kr/prog/bbsArticle/BBSMSTR_000000000077/view.do?nttId=B000000115179Pr0oJ6d&mno=sub01_07
    [57] [PDF] 멘토링을 통한 수학학습부진아의 수학학습태도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https://www.koreascience.kr/article/JAKO201409150678743.pdf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