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모코엠시스 기업분석 주가전망 | 문서보안·연계, 그리고 클라우드 솔루션을 선도하는 IT 벤더
    이슈 & 정보 2025. 9. 8. 07:51
    728x90
    300x250

    모코엠시스 기업분석 보고서

    문서보안·연계, 그리고 클라우드 솔루션을 선도하는 IT 벤더

     

     


    회사 개요

    모코엠시스는 EAI/ESB(시스템 통합), 연계솔루션, 문서보안제품, 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APM), 클라우드 솔루션을 제공하는 중소 IT기업이다. 2007년 9월 설립되었으며, 현대자동차, 포스코, 신한생명 등 대형 기업과 각종 공공기관을 주요 고객으로 보유하고 있다. 최근에는 보안 및 클라우드 사업의 지속적인 성장과 함께, 국내 2차전지 기업 시스템 고도화, 금융기관 연계 인프라 증설 등 신규 사업의 트랙을 확장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경영진 및 CEO

    2025년 5월 기준, 모코엠시스는 김인수·윤영호 대표이사의 각자대표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 김인수 대표는 사업부문을 총괄하며, 연계·보안·클라우드 사업의 국내외 확장을 주도하고 있다.
    • 윤영호 대표는 경영부문을 담당해, M&A와 전략적 제휴를 통한 신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와 밸류체인 확장을 추진하고 있다.
      기존 조천희 대표이사는 이사회 의장으로 회사 운영을 총괄한다.

    이사진은 IT 전문가 집단으로, 디지털 정부와 스마트워크, 보안 수요 확대에 발맞춰 기존 사업의 고도화와 신기술 기반의 사업 개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주요 제품 및 핵심 사업

    1. 문서보안 ‘엠파워’ 시리즈

    모코엠시스의 대표 제품은 문서중앙화 솔루션 ‘Mpower EZis-C’를 중심으로 한 ‘엠파워’ 시리즈이다.
    이 제품군은 문서의 반출, 분산 저장, 내외부 협업, 파기까지 문서 생애주기(Lifecycle) 전반을 관리할 수 있으며, 국정원 검증 암호화 모듈을 적용해 개인정보 유출 및 내부 부패를 사전 예방한다.
    최근 출시된 Mpower Portable외부 반출 문서에 대한 DRM(디지털 저작권 관리) 솔루션으로, 추가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이동 중에도 안전한 문서 활용을 지원한다.
    Mpower S-Filter는 개인정보 저장과 과다수집 등을 자동 탐지·차단하고, 자동 파기 및 내외부 감사 기능을 갖춘 개인정보보호 솔루션이다.
    Mpower 클라우드 V3.0보안파일서버 V9.0은 중앙 저장 파일의 암호화, 버전 관리, 권한 제어 등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문서 관리와 보안성을 강화한다.
    이들 제품은 행정안전부, 국세청 등 주요 공공기관에서 7년 이상 레퍼런스를 쌓았으며, 조달청 등록제품으로 공공기관 수요를 견인하고 있다.

    2. 연계(Integration) 솔루션

    자사 연계플랫폼 MI Advanced, MI API 등을 기반으로, 금융·에너지·제조 등 대기업의 IT 시스템 통합 및 성능 최적화를 제공한다. 최근에는 2차전지 기업의 시스템 고도화, 금융기관의 연계 인프라 증설, EOS(End of Service) 업그레이드 등으로 영업 다변화에 성공하고 있다

    3. 클라우드 및 기타 사업

    모코엠시스는 클라우드 저장소 및 모니터링 서비스도 제공하며, 2017년 행정안전부의 ‘G드라이브’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APM(애플리케이션 성능 관리) 솔루션 도입으로 대형 고객사의 IT 운영 효율화와 안정성을 지원하고 있다.


    주요 실적 및 재무 현황

    • 2025년 반기 매출액: 147억원
    • 2025년 반기 영업이익: 13억9000만원(전년 동기 대비 163%↑)
    • 2025년 반기 당기순이익: 14억2000만원(전년 동기 대비 87%↑)
    • 수주잔고: 200억원 전후
    • 자금 여력: R&D 투자 및 신규 사업 진출에 유리한 수준.

    최근의 실적 성장은 연계·보안·클라우드 등 주요 사업 전반의 동반 성장자사 제품 비중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에 기반한다.
    자사 제품 비중을 높이는 노력으로 2019년 28%에서 2024년 38%로 확대, 영업이익률도 2.4%에서 14.2%로 대폭 상승했다.
    향후 2025년 연간 매출 360억원, 2027년 420억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코스닥 상장을 통해 연구개발 인력 확충, AI 기반 통합 플랫폼 개발 등 중장기 성장 로드맵을 구체화하고 있다.


    경쟁력 및 성장 동력

    • 공공기관·대기업의 보안/연계/클라우드 수요 기반 내실 성장
      ‘엠파워’ 시리즈 레퍼런스 확보, 자사 제품 도입 확대, 상용화 노하우 기반 안정적 수익구조 확립
    • 자사 제품 비중 확대로 수익성 개선
      OEM(외주개발) 위주 사업에서 자체 솔루션 판매 비중 확대로 영업이익률 개선 가속화
    • 신기술·클라우드·AI 도입을 통한 시장 변혁 선도
      외산 IT 솔루션 대체, 자체 플랫폼 고도화, AI 기반 모니터링 및 통합 연계플랫폼 개발
    • 글로벌 시장(말레이시아 등) 진출 및 M&A, 전략적 제휴
      해외 수요 창출 및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 밸류체인 확장

    주요 이슈 및 시사점

    1. 문서보안 및 클라우드 수요의 지속적 확대

    공공·기업의 디지털 전환, 개인정보보호 강화, 내부 감사 요구, 원격근무 확산 등으로 ‘엠파워’ 시리즈 및 클라우드 저장소에 대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공공기관의 나라장터를 통한 직접구매 또한 영업 확장의 주요 동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2. 연계사업의 고도화와 주문형 IT 서비스

    금융, 에너지, 2차전지 등 주요 산업의 고객 맞춤 연계 시스템 구축 수요가 증가하며, 시스템 고도화, EOS 대응, 신규 구축 사업이 연이어 확보되어 장기 성장 기반을 강화하고 있다.

    3. 자사 제품 전략의 파급 효과

    자사제품 비중 확대는 수익성 개선과 연구개발 투자 확대의 선순환 구조를 만들고 있다.
    자체 솔루션의 부가가치 창출, 데이터 통합 연계, 보안 강화 등 고객 가치 제고를 통한 경쟁력 강화가 새로운 성장 모멘텀이다.

    4. 글로벌 및 신사업 진출

    말레이시아 등 해외 시장 진출과 더불어 M&A, 전략적 제휴를 통한 신사업 발굴도 본격화하고 있어, 단기 실적 성장뿐 아니라 중장기적 성장 기반도 마련 중이다.


    향후 전망 및 전략

    모코엠시스는 기존 연계·보안·클라우드 사업의 고도화AI,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 신기술 기반의 플랫폼 개발로 시장 경쟁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자사 제품 비중의 꾸준한 확대를 통해 타사 대비 높은 수익성, 기술력, 고객믿음을 쌓고, 글로벌 확장과 신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병행해 차별화된 IT 전문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전략이다.

    특히,

    • AI 기반 통합 플랫폼 개발 및 고도화
    • 글로벌 시장(말레이시아 등)에서의 영업 및 합작사 진출
    • M&A 및 전략적 제휴를 통한 새로운 사업영역 창출
      등을 중장기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투자자 및 이해관계자 입장에서는 안정적 실적 성장, 높은 영업이익률, 전문 경영진 전략, 자체 개발 제품 비중 확대 등이 유의미한 요소로 부각된다.

     


    사업 구조와 주요 제품

    모코엠시스는 연계(Integration)·보안(Security)·클라우드(Cloud) 솔루션을 뼈대로 하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있다.
    연계솔루션은 대기업·공공기관의 복잡한 IT 시스템을 상호 연동·운영·관리하는 플랫폼(MI Advanced, MI API 등)으로, 직접 개발한 국산 소프트웨어 비중을 꾸준히 확대하며 공공·금융·제조 등 다양한 산업군에 공급되고 있다.
    보안솔루션은 엠파워(Empower) 시리즈를 중심으로, 문서중앙화, DRM, 개인정보보호, 파일서버 등 다양한 보안 수요에 대응하며, 국정원 검증 암호화 모듈 적용 등 신뢰성을 바탕으로 공공·금융기관에 다수의 레퍼런스를 확보했다.
    클라우드·AI 솔루션도 본격적으로 개발·도입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파일 관리, 모니터링, AI를 활용한 자동화 및 예측 분석 등 신성장 사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회사의 수주 구조는 주로 사업별 맞춤형 프로젝트자체 솔루션의 반복적 공급이 혼재되어 있으며, 2025년 반기 기준 수주잔고 200억원대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 기반을 갖췄다.
    사업부 매출 비중은 2025년 1분기 기준 연계솔루션 77%, 보안솔루션 12%, 클라우드솔루션 11%로, 전통적 연계사업이 주요 축을 이루며 자체 솔루션 비중 증가에 따라 영업이익률도 크게 개선되고 있다.


    경영진 구조 및 소유구조

    2024년 12월부터 모코엠시스는 김인수·윤영호 각자대표 체제를 도입하여 사업 리더십과 경영 리더십을 분리했다.
    김인수 대표는 IT 업계 30년 경력의 기술 전문가로, LG전자, 프로브정보기술 등에서 실무 경험을 쌓았으며, 2024년부터 모코엠시스 대표이사이자 최대주주(개인 지분 29.57%)로 경영권과 자본권을 겸비하고 있다.
    윤영호 대표는 경영 전반을 총괄하며,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M&A·전략적 제휴 등 회사의 미래 성장 전략을 주도한다.
    조천희는 기존 대표이사에서 이사회 의장으로 역할을 변경해, 기업 거버넌스 개선과 전략적 의사결정을 책임지고 있다.
    이러한 최대주주(김인수)-경영진(윤영호)-이사회 의장(조천희)의 삼중 구조는 권한의 분리와 견제를 통해 회사의 지속가능성을 높이고 있다.

     


    실적 및 재무 현황

    모코엠시스는 2025년 반기 기준 매출 147억원, 영업이익 13억9000만원, 당기순이익 14억2000만원을 달성하며,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163% 급증하는 등 역대 최고 수준의 수익성을 기록했다.
    실적 개선 배경에는 자체 솔루션 비중 확대와 더불어 연계·보안·클라우드 각 부문의 동반 성장이 있었다.
    특히 보안 부문은 AI 기술 접목 등으로 신규 사업을 다수 수주했으며, 연계 부문 역시 이차전지 기업, 금융기관 등에서의 수요 확대와 함께 사업 파이프라인을 꾸준히 확장하고 있다.
    재무구조도 개선되어, 2024년 연간 매출 279억6000만원, 영업이익 20억3000만원, 당기순이익 23억6000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2025년 1분기 영업이익률은 10.6%로 전년 동기 대비 10%p 이상 상승해, 자체 제품 확대에 따른 수익성 개선이 가시화되고 있다.

    주주구조는 최대주주와 특수관계인 지분율이 45%로, 경영권이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구조다.
    회사는 안정적인 고객기반자금 여력을 바탕으로, R&D 투자 확대신사업·글로벌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핵심 경쟁력 및 성장 동력

    모코엠시스의 경쟁력은 기술력 내재화, 자체 제품 비중 확대, 공공·대기업 레퍼런스 축적, 주도적 R&D 투자에 있다.

    • 자체 솔루션 비중은 2019년 28%에서 2024년 38%로 꾸준히 확대되었으며, 영업이익률도 2%대에서 14% 수준으로 대폭 상승했다.
    • 공공기관·금융·제조 등 대형 고객의 연계·보안·클라우드 수요 변화에 민첩하게 대응해, 기존 외산 소프트웨어를 자체 제품으로 대체(Win-Back)하는 성과도 냈다.
    • AI, 오픈API, 클라우드 등 신기술을 접목한 솔루션을 적극 도입해, 미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있다.
    • 글로벌 진출(말레이시아 등)과 M&A, 전략적 제휴 등 사업 다각화를 통해 밸류체인 확장을 추진 중이다.

    특히 연계플랫폼(MI Advanced, MI API), 엠파워 보안제품군, 클라우드 파일서버 등은 국내외에서 인정받는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체 개발력을 강화하는 한편, 고객별 맞춤형 도입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있다.

     


    산업 내 위상 및 전망

    모코엠시스는 연계·보안·클라우드 시장의 성장, 정부 및 기업의 디지털 전환 가속화, AI·빅데이터 등 신기술 도입 확대라는 산업 트렌드에 힘입어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공공기관의 조달청 등록, 대기업의 제품교체 수요, 금융권의 보안 강화, 2차전지·에너지 기업의 고도화 프로젝트 등 다양한 수요원을 확보하고 있다.
    자체 제품 비중 확대외부 파트너십(AI·MSP 등) 확장을 통해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전략을 추진 중이다.

    장기적으로는 신사업 진출 및 글로벌 파트너십, M&A 등 사업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더욱 집중할 계획이다.
    김인수 대표는 “M&A를 통한 신사업 진출, 신기술 확보 등 중장기 성장동력 확보에 힘쓰겠다”고 밝혔다.
    투자자 입장에서 모코엠시스는 안정적인 실적 성장, 높은 영업이익률, 전문 경영진의 전략, 자체 솔루션 비중 확대, 글로벌·신사업 발굴 등에서 매력적인 요소를 보유하고 있다.


    리스크 및 과제

    고객 집중 리스크, 대기업·해외 진출 경쟁 심화, IT 환경 변화에 대한 유연한 대응 등은 향후 주요 관리 대상이다.
    특히 연계·보안 시장의 경쟁 격화, 외산 솔루션의 공격적 마케팅, 급변하는 IT 환경에서 자체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회사는 R&D 인력 확충, 디지털 인재 양성, 사업 포트폴리오의 지속적 다변화를 통해 위험을 분산하고, 수익성 구조 강화에 힘쓰고 있다.


    결론

    모코엠시스는 기술 리더십, 안정적인 고객기반, 자체 솔루션 비중 확대, 수익성 개선, 중장기 성장 로드맵을 갖춘 IT 인프라 전문기업으로, 2025년 현재 한국 IT 산업 내에서 독자적 입지를 강화하고 있다.
    연계·보안·클라우드·AI 등 4대 핵심 사업을 기반으로 꾸준히 성장세를 이어가며, M&A, 글로벌 진출, 신사업 발굴 등 미래 대비에도 적극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경영진의 역량, 최대주주 구조, 이사회 체제, 기술역량, 안정적 실적흐름 모두 긍정적으로 평가되지만, 산업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력, 고객 다변화, 글로벌 경쟁력 강화가 향후 성패를 좌우할 것이다.

    모코엠시스는 디지털 전환의 핵심 파트너로서, 앞으로도 국내외 시장에서의 입지를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2025년의 도약을 기반으로, 자체 기술 기반 성장과 전략적 포트폴리오 다각화를 병행하는 모코엠시스의 행보가 더욱 관심을 모을 전망이다.

    모코엠시스는 연계·보안·클라우드 분야의 숨은 강자로서, 공공·대기업 시장에 안착한 IT 솔루션 전문기업이다.
    2025년 반기 기준 매출 147억원, 영업이익 13억9000만원 등 재무개선과 수주잔고 200억원대 확보 등 양적·질적 성장 동력이 확보되어 있다.
    ‘엠파워’ 시리즈 등 자체 솔루션의 레퍼런스 확대와 판매 채널 다변화, 신기술 도입, 해외진출 등으로 IT 산업의 성장 테마 대표주자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전망된다.

    단, 중소 IT기업 특유의 고객 집중 리스크, 대기업·해외진출 경쟁 심화, 급변하는 IT 환경 대응 등은 향후 리스크 요인이 될 수 있다.
    이에 모코엠시스는 R&D, 인재확보, 기술 선도성 강화를 통해 꾸준한 혁신과 안정적 성장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IT 시장의 디지털 전환, 개인정보보호 강화, 클라우드·AI 도입 확대 등으로 관련 솔루션 시장은 지속 성장세가 예상되어, 장기 투자 관점에서 기업가치 제고 가능성이 여전히 높은 기업으로 평가된다.


    본 보고서의 모든 내용은 최신 공시 및 언론보도, 공식 IR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으며, 투자판단에 참고용으로만 활용해야 합니다.

    1. https://www.etnews.com/20250814000185
    2. https://www.edaily.co.kr/News/Read?newsId=02335366642268632&mediaCodeNo=257
    3. https://www.etnews.com/20241227000209
    4. https://www.boannews.com/media/view.asp?idx=138719
    5. http://m.boannews.com/html/detail.html?idx=138719
    6. https://www.etnews.com/20250226000101
    7. https://www.isecconference.org/2025/kor/exhibitor_view.html?idx=252&page=1
    8.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2080999266
    9. https://mocomsys.com/board/press
    10. https://www.mocomsys.com
    728x90
    반응형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