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중 갈등 격화, 희토류·AI·에너지 전쟁 개막 | 트럼프의 미중 갈등 스탠스는 계속이슈 & 정보 2025. 10. 13. 09:58728x90300x250
10월 중순 글로벌 증시는 미·중 긴장 고조 속에 큰 폭으로 흔들렸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 발언과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가 맞물리며 시장은 정치·무역 리스크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있다.

미·중 갈등 격화, 증시 급락
- 미국 증시는 4월 관세쇼크 이후 최악의 하락세를 기록했다.
(S&P500 ETF -2.7%, 나스닥100 ETF -3.47%) - 트럼프는 “11월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 관세 및 핵심 소프트웨어 통제 시행”을 예고했고, 증시는 즉각 패닉에 빠졌다.
- 중국은 이에 맞서 희토류 전방위 통제 계획을 발표했다.
- 수출허가제 도입 및 통제 품목 확대
- 해외 제조제품과 장비까지 규제
- 리튬·배터리·음극재 관련 설비 통제 (11월 8일부터 시행 예정)
- 중국은 희토류 채굴 61%, 정제 92%, 리튬 정제 85% 등 핵심 광물 시장을 사실상 장악하고 있다.

회담 앞둔 신경전과 시장의 시각
- 트럼프는 다음날 “회담에는 예정대로 참석하겠다. 중국의 응답을 보겠다”고 밝혀 11월 APEC 정상회담 참석 계획을 재확인했다.
- 시장은 의견이 크게 갈렸다.
- 낙관파: “정치적 쇼에 불과하다, V자 반등 가능”
- 중립파: “10월 말까지 관망 필요”
- 신중파: “2차 관세전 본격화 시 또다시 충격 불가피”
- 중국 관영지 ‘글로벌타임스’의 후시진은 “지금은 전환점이며, 미국은 중국을 동등한 파트너로 대해야 한다”고 언급해 중국 내부의 의중을 대변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시장 심리와 투자전략
- 톰 리는 “추가 하락은 매수 기회”라고 주장했다.
- 4월 이후 이어진 V자 반등의 과정에서 나오는 건강한 조정이라고 진단.
- 변동성 지수 급등 후 1주~1개월 뒤 수익률은 대체로 양호했다는 분석.
- 중립파 투자자들은 “이번엔 트럼프가 채권시장 안정 덕분에 여유가 있다”고 평가했다.
- 공포심리를 나타내는 Fear & Greed Index는 29로 ‘공포 구간’에 진입했지만, 아직 극단적 수준에는 도달하지 않았다.
- 역사적으로 ‘극단적 공포’는 항상 매수 기회로 작용했다는 점이 재조명되고 있다.
핵심 변수: 희토류·에너지·AI 인프라
- 트럼프는 “미국 채굴산업 복귀”를 선언하며 알래스카 광산 개발 재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 미 국방부는 알래스카 광산을 보유한 트릴로지 미네랄에 10% 지분 투자 발표.
- 중장기적으로 전략자원 관련주(예: MP, LAC, TMQ, REMX, XME, LIT 등) 에 대한 관심이 이어질 전망이다.
- 중국이 지속적으로 확보하려는 자원은 결국 ‘반도체’와 관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반도체 공급망 종목에도 주목 필요.
에너지·AI 동맹 형성 조짐
- 미·중 무역 충격 속에서도 강세를 보인 업종은 원전·전력 인프라 섹터였다.
- 오클로(OKLO) +15.5%, 에너지퓨얼스(UUUU) +23.1%
- 트럼프와 AI 리더들이 나란히 ‘전력 인프라 확충’을 강조했다.
- 트럼프: “AI 데이터센터가 자체 전력을 생산할 수 있도록 규제 완화 중.”
- 샘 알트만: “모든 에너지원이 필요하며, 결국 원전+ESS가 주력.”
- 젠슨 황: “전력 확보 실패 시 중국에 뒤처질 것.”
- 일론 머스크: “AI 경쟁의 승자는 10억 반도체·1TW 전력·1억 로봇을 가진 자.”

빅테크와 AI의 투자 확산
- 오픈AI는 오픈소스 앱과 제휴를 확대하며 수익화를 본격화한다.
- 주간 이용자 8억 명 돌파, 일부 앱(소라 등) 폭발적 인기.
- 챗GPT는 음악(STP), 부동산(Z), 디자인(FIG), 여행(BKNG·EXPE), 교육(COUR), 전자상거래(SHOP·ETSY) 등과 연동 예정.
- AI 인프라 부족으로 데이터센터 관련주 급등.
- IREN +18.5%, APLD +28.1%, CIFR +15.4%.
- 엔비디아는 오픈AI에 이어 xAI에도 지분 투자, 총 투자액 11억 달러로 확대.
- AI 생태계 내 투자 포트폴리오는 CRWV, ARM, RXRX, NBIS 등으로 확장 중.
- 빅테크 간 연대 강화는 기술 혁신의 촉매가 될 수 있지만, 버블 붕괴 시 동반 리스크도 커질 수 있다는 경고가 제기된다.
관전 포인트
- 10월 말까지 미·중 협상의 재개 여부와 2차 관세전쟁 발발 가능성
- 미 연방정부 셧다운 장기화 리스크
- 빅테크 실적 시즌 개막이 시장 회복의 단초가 될지 주목
전반적으로 시장은 ‘공포와 기대’ 사이에 놓여 있으며, 단기 급락 속에서도 전략자산·AI 인프라·에너지 관련 섹터는 구조적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https://esterification.tistory.com/1185MP Materials Corp. | NYSE:MP | MP 기업 분석: 희토류·영구자석 주목받는 미국 대표 소재기업
MP Materials Corp.(NYSE:MP) 기업 분석: 희토류·영구자석 주목받는 미국 대표 소재기업 회사 개요 및 사업구조MP Materials Corp.는 미국에서 희토류(Rare Earth Elements, REE)의 채굴, 정제, 가공, 판매를 수직적
esterification.tistory.com
https://esterification.tistory.com/1191
USAR | USA Rare Earth | 희토류 관련주 | 나스닥 희토류 기업 | USAR 기업분석 | 주가전망 | CEO Joshua Ballard
포스트 인더스트리얼 시대의 아메리칸 드림을 다시 쓰다USA Rare Earth, Inc. (USAR) 기업분석 및 주가 전망 기업 개요USA Rare Earth, Inc. (USAR)는 2025년 3월 나스닥 상장을 통해 글로벌 자본시장에 본격적으
esterification.tistory.com
http://esterification.tistory.com/1189
희토류 세계 생산 순위 | 희토류 정제는 왜 중국에서만? | 희토류 주요 원소 가치와 용도 | 희토류
희토류 세계 생산, 정제 지형, 그리고 주요 원소 가치와 용도1. 희토류 생산의 국제 현황과 비중희토류(Rare Earth Elements, REEs)는 17개의 원소로 구성되어 있으며, 첨단산업, 친환경 에너지, 국방 등
esterification.tistory.com
728x90반응형'이슈 &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중 희토류 수출통제 및 무역갈등 | 희토류 분쟁의 역사적 배경 | 2025년 미·중 희토류 갈등 타임라인 (0) 2025.10.20 한화조선 사업 중국서 제재 | 한화오션 한화필리조선소 | 한국조선업 | 일본조선업 영향 (1) 2025.10.14 한국의 휴머노이드 로봇 산업, 기술 자립과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략 (0) 2025.10.13 SK텔레콤과 SK스퀘어의 주가 추가 | 왜 SK스퀘어만 상승할까? | SK텔레콤 주가 전망과 투자 기업 | SK스퀘어 자회사 탄생배경 (0) 2025.10.10 옴니네트워크(OMNI) | 이더리움 기반의 레이어2(L2) 간 상호운용성을 해결하는 핵심 인프라 프로젝트 (1) 2025.10.10 - 미국 증시는 4월 관세쇼크 이후 최악의 하락세를 기록했다.